본문 바로가기

이혼소송/양육ㆍ친권

[수원이혼소송]이혼 후 자녀의 성(姓)과 본(本) 변경


[수원이혼소송]이혼 후 자녀의 성(姓)과 본(本) 변경
이혼소송, 이혼무료상담, 자녀성변경, 이혼상담, 이혼소송변호사, 이혼상담변호사, 법률무료상담, 우리동네변호사, 법무법인소원, 법률도우미


안녕하세요 법무법인소원입니다.

오늘 포스팅할 정보글은 이혼 후 자녀의 성(姓)과 본(本) 변경에 관한 생활법률입니다.

 


포스팅을 보시고 궁금하신점 & 법률상담 & 이혼소송상담이 필요하신 분들은

 

저희 법무법인소원에 전화주세요.

 

 

 

 

 

 

이혼 후 자녀의 성(姓)과 본(本) 변경

 

이혼 후 자녀의 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부(父), 모(母) 또는 자녀가 가정법원에 성과 본의 변경심판을 청구해서 법원의 허가를 받아 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성과 본의 변경허가판결을 받은 경우에는 재판의 확정일부터 1개월 이내에 재판서의 등본 및 확정증명서를 첨부해서 행정관청에 성과 본의 변경신고를 해야 합니다.

 

 

가정법원에 자녀의 성(姓)과 본(本)의 변경심판 청구
 

 

부모의 혼인 중의 출생자는 원칙적으로 아버지의 성과 본을 따릅니다(「민법」 제781조제1항 본문). 그러나 자녀의 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가정법원에 그 변경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가사소송법」 제2조제1항제2호가목 6)].
청구권자
자녀의 성과 본의 변경심판은 부(父), 모(母) 또는 자녀가 청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녀가 미성년자이고 법정대리인이 청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친족(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및 배우자) 또는 검사가 청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777조 제781조제6항).
관할법원
자녀의 성과 본의 변경심판은 사건본인의 주소지의 가정법원에 신청하면 됩니다(「가사소송법」 제44조제1호마목).
변경허가 기준
변경허가 기준
가정법원은 자녀의 성과 본의 변경 청구가 있는 경우에 부, 모 및 자녀(13세 이상인 경우만 해당)의 의견을 들어서 변경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데 반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녀의 부모 중 자녀와 성과 본이 동일한 사람이 사망하거나 그 밖의 사유로 의견을 들을 수 없는 경우에는 자녀와 성과 본이 동일한 최근친(最近親) 직계존속의 의견을 들을 수 있습니다(「가사소송규칙」 제59조의2제2항).
이 외에도 가정법원은 자녀의 복리를 위해 필요한 사항을 고려해서 성과 본의 변경허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행정관청에 성과 본의 변경신고
 

 

성과 본의 변경신고
가정법원으로부터 성과 본의 변경허가판결을 받은 경우에는 재판의 확정일부터 1개월 이내에 재판서의 등본 및 확정증명서를 첨부해서 등록기준지 또는 주소지 관할 시청·구청·읍사무소 또는 면사무소에 성과 본의 변경신고를 해야 합니다(「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100조).

 

 

 

 

 

여러분들의 힘든 고민 !


저희 법무법인 소원이 도와 드리겠습니다.

 

 

 

 

 

 

 

법무법인소원


전국대표번호 : 1588-1264
http://www.15881264.com